Spring AOP 내가 생각하는 AOP 는 언제, 어디에,무엇을 의 조합(Weaving) 이라고 생각해서 아래와 같이 표현했다. 딱봐도 로깅, 트랜잭션, 성능테스트 때 코드에 하드코딩 하지 않고 우아하게 활용할 수 있다. 처음 AOP 개념을 접했을 때 저 용어들 때문에 혼란 스러웠고 아직도 혼란스럽지만 언제, 어디서, 무엇을 기준으로 채워나가면 그럭저럭 외워진다. 단, 아쉬운 점은 AspectJ에서 Advice Annotation에 Pointcut을 얽히게 해서 경계가 명확해 보이지 않는다. 그 부분은 좀 알아봐야 겠다. @Component와 @Configration & Stereo type @Component와 @Bean의 차이점을 궁금해 찾아봤다. - @Bean은 @Configration과 함께 쓰인다는 점 - @Configration의 Annotation을 열어보면 @Component가 선언되어 있다 그렇기 때문에 @Bean 으로 선언되지 않은 Method 도 @Autowired의 대상이 되지만 이렇게 구현 하면 의미가 없다. - @Component는 @Bean을 비교 할 것이 아니라 @Configration과 비교 해야 할 것 - @Bean은 stereo type 이다. stereo type은 컴파일러 뿐 아니라 개발자에게도 annotation의 역할을 한다. spring에서는 stereo type 들이 꽤나 많다. Annotation을 보면 ElementType.Method이다. *.. springboot + gradle + yaml springboot + gradle 조합으로 yaml 을 붙였다. https://github.com/whybwhy/spring-gradle-demo/blob/master/Yaml.md SpringBoot 단상 - 구성을 이해하고 할 수 있다면 진입장벽이 낮아진다 -> 이것이 정말 어렵다. 조합하다 실패가 나면 왜 실패 했는지 알기가 어렵다. - 웹서버 구축이 더이상 필요하지 않다 XML vs JSON vs YAML 데이터 샘플 출처 : https://www.genericgamedev.com/general/serialisation-comparing-xml-sdl-toml-json/ Serialisation - Comparing XML, SDL, TOML, JSON – GameDev Choosing the right script file format can be an essential decision. By comparing several alternatives we can see what we really need for our application. www.genericgamedev.com YAML의 또하나의 강점은 --- 으로 환경 변수 설정이다. @Setter + DI @Setter(onMethod_=@Autowired) 이 코드를 처음 봤을 때부터 불편했다. - @Autowired 와 차이점 - 왜 버전 별로 달라야 하나 - 왜 underbar(_) 인가? 계속 불편한 마음이 지속되다가 결국엔 검색하며 유추해봤다. - @Autowired 와 차이점 @Autowired는 생성자 주입, @Setter는 Setter 메소드 주입. 단 @Setter는 Setter 메소드를 생성하는 어노테이션이고 @Setter(onMethod_ = @Autowired)는 Setter 메소드에 주입이며 @Autowired는 Springframework, @Setter는 Lombok Project에 소속된 어노테이션이다. ! 그럼 또 여기서 궁금한 점이 생긴다. @Autowired와 @Sette.. Springframework 단상 annotation에 대한 테스트 코딩을 하고 Spring 프로젝트를 구축해서 모듈 하나씩 붙여보려 하는데 막히는 게 바로 Configration과 관련된 Annotation이다. 자주 코딩할 일도 없고 보통 도메인을 주도하는 개발자가 세팅하기 때문에 직접 세팅 할 일이 없지만 모르면 이또한 답답한게 없다. 도저히 구조가 이해되지 않아서 SpringFramework 에 대해 다시 검색해 특징들을 확인해보니 어설프게 알고 있던 개념과 이를 말로 설명하려니 어렵고 어떻게 외워야 하나 싶다가 그간 테스트 코드나 현업에서 사용했던 코드를 떠올리며 특징과 연관시켜 봤다. SpringFramework의 특징인 IoC, AOP, PSA, MVC2 등등 이 모든게 Pojo 를 위한 개념이고 이는 Annotation 기.. transient 와 volatile transient와 volatile은 - 발음기호도 어렵고 - access modifier 이면서도 사용한 적도 없고 - 기능도 이해를 못하고 있었다. transient와 volatile은 모두 jvm 메모리와 관련된 키워드이며 각각 serialized와 jvm, thread, synchronized 에 대한 선지식이 있어야 이해가능한 내용이다. transient는 field가 serialized 대상 제외 되기 위한 키워드이며 serialized 에 대해 알아볼 때 이미 숙지한 내용인데 오늘 다시 검색해보니 생각의 전환을 하는 글을 봤다. "this field is for in-memory use only. don't persist or move it outside of this particular V.. 이전 1 2 3 4 5 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