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java (27)
ren+gin+eer

Thread Dump 는 매번 난공불락의 개념이였고 - 웹문서의 Thread Dump 파일 로그를 보고 도대체 저 로그를 보고 어떻게 장애를 해결하는 것인지 이해할 수 가 없었다. 매번 알기를 미뤄뒀다. - 라이브 장애가 발생 했을 때 thread dump 를 알아보고 추출하는 것보다 catalina.out을 보고 원인파악을 해서 해결 해왔다. 안좋은 기억도 있다. 후임이 담당하는 웹서버중 한 대가 죽지도 살지도 않는 상태여서 후임이 확인 중에 있었다. 예전에 동일한 경험이 있어 좀비프로세스가 있는지 확인 하고 이를 강제 종료 후 다시 웹서버를 시작하도록 조언했고 장애는 빠르게 해결 했으나 원인은 알 수 없는 상태 였다. 이에 대해 다른 팀원이 오더니 후임에게 어떻게 해결 했는지 물어보고 왜 Thread..
객체지향을 올바르게 설계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원칙이다. 나는 객체지향 어떻게(HOW)를 도와주는 가이드라고 해석했다. SOLID가 무엇인지 검색을 통해 지식을 모아봤는데 SOLID에 대해 비슷하지만 조금씩 다른 해석들이 나왔고 습득이 되지 않았다. 역시 여러 글을 접하고 ERD를 보고서야 조금씩 이해가 됐다. SOLID를 이해하기 위해선 설명보단 ERD를 위주로 습득하고 SOLID 기반의 설계와 코딩을 해야 시야와 좋은 설계가 나올 것 같다.
다시 java 시작 하면서 객체지향이란 무엇인지 부터 시작 했다. 검색과 유투브를 통해 지식을 모아봤는데 내게 와닿는 내용을 찾지 못했고 (그 지식들이 틀리다는 얘기가 아니다. 내가 흡수하지 못했단 뜻이다) 그 중 "추상화"란 단어는 반복적으로 나왔다. 추상화를 생각하니 현대미술을 보는 느낌이 떠올라 객체지향은 정의 할 수 없는 것이란 생각에 반감이 들었고 정확히 무슨 뜻일까 궁금해서 "추상"이란 단어를 검색하고 위키백과와 대산님의글, 한자어를 보고 정확한 의미를 알았다. 한자 : 抽象 (뽑아내다 추, 코끼리 상) 위키백과 : 사물을 정확하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사물이 지니고 있는 여러 가지 측면 가운데서 특정한 측면만을 가려내어 포착하는 것이다. 어떤 일면만을 추상하는 것은 다른 측면을 버린다는 것과 같..